김용 / Jin Yong
1924 ~2018, 중국
본명: 차렁융(查良鏞)
무협을 통속물에서 문학의 경지로 끌어올린 신필.
중화권의 무협 소설 작가이자 홍콩의 신문사 명보를 창간한 언론인.
인문학 전반에 높은 수준의 식견을 가지고 있다.
대표작
사조영웅전 (1957)
신조협려 (1959)
의천도룡기 (1961)
천룡팔부 (1963)
소오강호 (1967)
녹정기 (1969)
사조영웅전
진정한 영웅은 무공보다 정의를 지키는 자이며 세상을 바꾼다.
1. 두 가문의 약속과 갈라진 운명
곽정의 아버지 곽승과 양강의 아버지 양철심은 의형제.
금나라에 의해 둘 다 목숨을 잃는다.
두 아들의 출생 전, 칠공자(몽골 칠기사)와 전진교 도사 구처기는 “자식이 태어나면 각각 맡아 기르자”고 약속.
곽정은 몽골에서, 양강은 금나라에서 자라며 전혀 다른 가치관과 성격으로 성장한다.
2. 곽정의 몽골 성장기
곽정은 몽골에서 자라며 칭기즈 칸의 신임을 받는다.
성격은 둔하지만 정직하고 끈질김.
홍칠공에게 무공을 배우게 되고, 강호의 인물로 성장함.
3. 양강의 야망과 배신
양강은 지혜롭지만 탐욕스럽고 자기중심적이다.
자신의 뿌리를 숨기고 금나라 귀족으로 살아간다.
이후 진실을 알게 되지만,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짓과 음모를 일삼는다.
결국 강호에서 수많은 악행을 저지르며 악의 길로 들어선다.
4. 곽정과 황용의 사랑
황용은 곽정을 처음부터 좋아하지만, 곽정은 둔하다.
황용은 뛰어난 지혜로 곽정을 여러 번 도와주고, 둘은 차츰 사랑에 빠진다.
황용의 아버지 황약사는 처음엔 곽정을 탐탁지 않게 여기지만, 점차 인정한다.
5. 강호의 분쟁과 구양봉의 음모
무림을 지배하려는 악인 서독 구양봉은 파괴와 혼란을 일으킨다.
무림 고수들은 전설의 비급 구양진경(九陽真經)을 차지하려 혈투를 벌인다.
곽정은 정의롭고 희생적인 선택을 통해 구양봉의 음모를 저지함.
6. 민족적 갈등과 곽정의 선택
칭기즈 칸은 곽정을 총애하며 군사로 삼지만, 곽정은 몽골의 남송 침공 계획을 알게 됨.
곽정은 갈등 끝에 몽골을 떠나 송나라를 지키기 위해 중원으로 돌아감.
이는 곽정의 민족적 자각과 영웅으로서의 각성을 상징함.
7. 결말과 다음 이야기로의 연결
곽정은 강호의 정의를 지키며 무림인들의 존경을 받는다.
황용과 함께 거문산성에 자리를 잡고 강호와 나라를 지키는 의협의 상징이 된다.
이들의 딸 곽완정은 후속작 《신조협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양강은 결국 악행을 일삼다 비극적인 최후를 맞음.
신조협려
금기를 넘어선 사랑
1. 양과의 유년기와 차별
양과는 《사조영웅전》의 악역 양강의 아들로 태어나, 곽정·황용 부부에게 맡겨진다.
그러나 양강의 악행 때문에 양과는 냉대받으며 자란다.
결국 고묘파의 소용녀에게 맡겨지며, 고묘에서 제자와 스승으로 살아간다.
2. 사랑의 금기와 추방
양과는 소용녀와 함께 생활하며 서로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스승과 제자의 사랑이라는 강호의 금기를 깨뜨린 관계.
고묘파, 곽정 부부, 세상의 시선 모두 이들을 갈라놓는다.
소용녀는 세상을 떠나기로 결심하고 양과와 헤어지며 “16년 후 다시 만나자”고 약속한다.
3. 신조(神鵰)와 무공 수련
소용녀와 이별한 양과는 고통 속에서 방황하지만,
전설의 거대 독수리(神鵰)를 만나고, 독수리의 도움으로 무공 고수를 만나게 된다.
결국 절세무공인 안세십팔장(黯然消魂掌)과 현성검법을 익히고,
외형·내면 모두 완전히 변화한 절세 고수가 된다.
4. 강호의 혼란과 양과의 활약
중원 무림은 금륜법왕과 원나라 첩자들, 이막수 등의 악행으로 혼란에 빠짐.
양과는 정의의 편에 서서 곽정·황용을 도우며 점차 무림의 중심으로 떠오른다.
특히 이막수, 공손지 등의 악인을 처단하며 명예와 신뢰를 얻는다.
5. 절정: 양양성 전투
원나라 군대가 양양성(襄陽城)을 공격하면서,
곽정과 황용은 끝까지 성을 지키려 함.
양과는 소용녀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나타나 금륜법왕을 처치하고,
위기에 처한 성을 구한다.
6. 결말
금륜법왕 사망, 중원의 위기는 일단락.
소용녀는 죽지 않고 생존해 약속대로 나타난다.
양과와 소용녀는 강호를 떠나 은거하며, 전설처럼 사라진다.
곽정과 황용은 여전히 송나라를 지키기 위해 성을 지킨다.
비극은 피했지만, 이들의 선택은 강호와 거리두기를 선택한 ‘탈속의 길'이다.
의천도룡기
사랑과 책임의 선택
1. 비극적 출생과 고난의 유년기
장무기는 장취산(무당파 고수)과 곽완정(곽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난다.
어린 시절, 부모는 원나라 간신들의 음모에 말려들어 자결하고,
그는 천산설녀에게 독을 맞아 몸속에 극한의 한빙진기가 흐르게 된다.
이후 무공 수련이 불가능해지며 병약하게 자란다.
2. 도룡도와 의천검의 비밀
강호에는 전설의 두 무기가 전해진다:
도룡도: 검을 부수는 칼.
의천검: 천하제일의 검.
이 두 무기 속에는 무림의 비급과 송나라 부흥의 계획(병서)이 숨겨져 있다.
이를 둘러싸고 강호는 격동하고, 명교, 무당파, 소림사, 원나라 세력이 얽히게 된다.
3. 무공 각성과 명교의 교주
장무기는 우연히 구양진경(九陽真經)을 얻어 내공을 회복하고,
전설적인 무공인 태극권, 태극검법, 건곤대나이, 용사칠상장 등을 익히며 절정 고수로 성장한다.
혼란에 빠진 명교(明教)를 구하고, 스스로 교주가 되어 강호를 재편한다.
4. 네 여인과의 인연
인물 관계 특징
주지약 첫사랑 청순했으나 권력욕으로 인해 어두워짐.
소소 마음을 터놓는 조력자 후반부 페르시아로 떠남.
양불괴 짝사랑의 대상 짧은 서사, 충직함 상징.
조민 진정한 연인 적이었으나 서로의 진심을 이해하고 사랑함.
특히 주지약과의 사랑은 무당파와 명교의 갈등을 낳고,
조민은 처음엔 원나라 적이었지만, 끝내 장무기의 편으로 돌아선다.
5. 무림 전쟁과 정파·사파의 혼란
장무기는 각 문파와 원나라 세력 사이에서 무공뿐만 아니라 정치적 균형도 고려해야 한다.
강호는 ‘정파=정의, 사파=악’이라는 구분이 무너지고,
오히려 정파들이 탐욕과 권력으로 더 타락함이 드러난다.
그는 무당파와 소림사, 명교를 아우르며 새로운 질서를 꿈꾼다.
6. 결말 – 은거의 선택
장무기는 최강의 무공과 정치력을 지녔지만,
끝내 원나라와의 전쟁, 강호 통일, 권력 유지 모두를 포기한다.
조민과 함께 강호를 떠나 은거하며, 무림의 영웅에서 ‘인간 장무기’로 돌아간다.
명교는 후계자에게 맡기고, 무림은 새로운 시대로 넘어간다.
천룡팔부
세 명의 주인공이 각각 정체성의 갈등, 비극을 겪는다.
1. 교봉 - 충의와 비극의 영웅
교봉은 소림사 출신이자 무림맹의 수장으로 모두의 존경을 받는 협객.
하지만 자신의 출생이 요나라(거란족)임을 알게 되고, 중원 무림에서 배척당한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과 조국, 양부모의 원수, 자매 간의 비극 사이에서 방황한다.
비극 1:
연인 아주가 음모에 말려 죽자 직접 죽인 이가 교봉이라는 오해까지 겹쳐 고통을 겪음.
그의 삶은 끝없이 정체성의 모순, 복수와 용서, 자기부정 속에 놓인다.
결말:
최후에 교봉은 거란과 송나라 사이에서 전쟁을 막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그는 진정한 의미에서 무림의 전설이 되었지만, 그 삶은 철저히 고독하고 비극적이었다.
2. 단예 – 순정과 성장의 여정
대리국의 왕자. 우연히 무공 고서와 내공을 얻게 되고 강호에 뛰어듦.
왕어언이라는 여인에게 첫눈에 반해 사랑하게 되지만, 그녀는 사촌 오빠 묘용복을 짝사랑한다.
단예는 그녀를 위해 헌신하지만, 끝내 마음을 얻지 못한다.
비극 2:
왕어언은 자신도 모르게 단예에게 끌리지만, 도의와 윤리 사이에서 갈등.
끝내 그녀와 단예는 서로를 받아들이지만, 그 과정은 길고 복잡하다.
단예는 결국 대리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왕어언과 결혼. 사랑과 권력을 동시에 얻게 된다.
3. 허죽 – 운명과 초탈의 승려
소림사에서 평범한 수행을 하던 중, 우연히 천산동노(天山童姥)와 무량검의 비급을 얻게 되며 고수가 된다. 이후 서역의 무림 세력 ‘소연합’의 지도자가 되어, 운명에 휘말린다.
비극 3:
정을 알지 못하던 허죽은 사랑도, 가족도 얻게 되지만,
출가승이라는 자신의 신분 때문에 모든 것이 괴리된다.
결국 그는 세속과 출가의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며 운명에 순응하는 길을 택한다.
소오강호
권력과 위선으로 가득한 무림을 떠나, 사랑과 자유를 택한 진정한 협객의 이야기
서두 – 강호의 위선
영호충은 화산파 대제자로 자라나지만, 자유분방하고 규율에 어긋나는 행동이 잦다.
우연히 '사파(사악한 무리)' 인물들과 교류하게 되며 스승 악영산에게 버림받는다.
영호충의 방랑
무공은 점점 더 강해지지만, 정파 사람들에게 배척받고, 사파에서도 의심받는다.
우연히 “독고구검(獨孤九劍)”이라는 무공을 전수받아 강호 최고수 중 하나로 성장한다.
그러면서 무림의 위선과 정치적 모순을 점점 깨닫게 된다.
무림의 암투 – 권력과 위선
악영산은 명예로운 군자 행세를 하지만 사실은 권력을 위해 사람을 죽이고 배신하는 악인.
그는 마교의 무공 ‘벽혈검보’를 얻기 위해 흑화한다.
영호충의 동문과 동생들도 악영산의 계략에 휘말려 죽거나 파멸한다.
동방불패와 임아행
한편 마교에서는 임아행이 동방불패에게 교주 자리를 빼앗기고 복수의 기회를 노린다.
영호충은 임청하와 함께 동방불패를 타도하고, 임아행은 다시 교주가 된다.
하지만 임아행 역시 잔혹하고 폭군적인 성격을 드러내며 영호충과 갈등을 빚는다.
결말 – 강호에서 벗어나다
영호충은 결국 임청하와 함께 무림의 권력과 암투, 사파와 정파의 위선 모두를 버리고 떠난다.
둘은 은둔하여, “소오강호” – 세상의 속됨을 비웃으며 자유롭게 살아가는 삶을 선택한다.
녹정기
처세로 살아남는 주인공
1. 출생과 우연한 궁정 입문
위소보는 양강 호객부(기생집)에서 자란 천한 출신이다.
우연히 소림사 승려를 따라 북경에 가게 되고,
강희제의 궁궐로 잠입, 이후 황제의 총애를 받게 된다.
천한 출신임에도 놀라운 재치와 거짓말로 입지를 키운다.
2. 황제와 친구가 된 사내
위소보는 황제를 형처럼 따르고,
강희제 역시 그를 믿고 중용한다.
동시에 위소보는 반청복명 단체 ‘천지회’에도 가입해 이중첩자가 된다.
3. 첩보전, 음모전, 배신과 생존
위소보는 청나라 조정에서 반란을 일으키는 자, 위조 황제, 외세 세력, 천룡교, 정씨왕조 등을 상대하며
지략, 말빨, 운, 인맥으로 살아남는다.
그는 무공은 없지만, 여섯 권의 비급, 황실의 비밀, 정치 음모를 손에 넣으며 점점 큰 인물이 된다.
4. 이중 정체성과 충돌
강희제는 개혁 군주로, 위소보에게 민족보다 국가 질서를 강조한다.
반면 위소보는 정체성과 의리를 지키기 위해 천지회도 배신하지 못한다.
그는 끝내 어느 쪽도 배신하지 않으며, 양다리를 걸친 채 둘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다.
5. 일곱 명의 아내
위소보는 천성과 처세술로 무려 일곱 명의 아내를 둔다.
이들은 각각 무림고수, 황족, 청순한 소녀, 호방한 여장부 등 다양한 캐릭터로,
모두 그를 사랑하고 때로는 갈등을 겪는다.
그는 정착하지 않고 모두와의 관계를 유지함.
6. 결말: 영웅이 아닌 인간으로
강희제는 위소보에게 반청복명 단체를 버리고 청나라에 충성하라고 강요하지만,
위소보는 이를 거절하고 모든 벼슬과 권력을 버린다.
마지막엔 일곱 아내를 데리고 강호로 떠난다.
그는 무림 영웅도, 절대충신도 아닌 “자유로운 생존자”로 남는다.